디오리진 아이덴티티 디자인
Identity design for the Origin
Identity
2023
디오리진
4
모두예술주간2023 〈장애예술 매니페스토〉
Disability Art Week in Seoul 2023
EditorialGraphicMotion
2023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4
제 15회 DMZ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The 15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GraphicIdentityMotion
2023
DMZ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4
LG 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3 웹사이트
RE:ACT TO ZERO
MotionWebsite
2023
LG화학
4
2022 금천예술공장아카이브
2022 Geumcheon Archive
Editorial
2023
금천예술공장
4
보고싶어, 니 영화! 2023
We want your film! 2023
Graphic
2023
서울독립영화제
3
나비클럽 소설선
Nabiclub Novel Series
EditorialGraphic
2023
나비클럽
3
언유주얼 굿즈 페어 2023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 웹사이트
Unusual Goods Fair 2023 Graphic Application & Website
GraphicSpaceWebsite
2023
일상예술창작센터
4
2023 제로원데이
ZER01NE DAY 2023
EditorialGraphicMotion
2023
ZER01NE
5
베테랑의 몸
The Veteran’s Body
Editorial
2023
한겨레출판
3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 2023-2024
National Theater Repertory Season 2023-2024
Graphic
2023
국립극장
4
LG 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3 RE:ACT TO ZERO
LG CHEM SUSTAINABILITY REPORT 2023 RE:ACT TO ZERO
Editorial
2023
LG화학
4
이것도노동이다
This is also Labor
Editorial
2022
전국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협회
3
신세계백화점 경기점 리뉴얼 오픈 [피어나다]
Shinsegae Department Store in Jukjeon Renewal Design [Bloom]
GraphicMotion
2023
Shinsegae Department Store
2
제9회 아마도 사진상 김동준 개인전 <방해하는 추출, 밀어두는 소화>
The 9th Amado Photography Award-Kim DongJun Solo Exhibition, <Distorting Extraction, Storing Digestion>
EditorialGraphic
2022 2023
아마도예술공간
4
아트선재센터 웹사이트
Art Sonje Center Website
Website
2023
아트선재센터
3
아마도애뉴얼날레_목하진행중 도록
Amado Annualale Catalog
Editorial
2023
아마도예술공간
4
Sync Next23(싱크 넥스트 23)
Sync Next 23
GraphicMotion
2023
세종문화회관
4
나비클럽 소설선
Nabiclub Novel Series
Editorial
2023
나비클럽
4
광주비엔날레 2023 웹사이트
Gwangju Biennale 2023 Website
Website
2023
광주비엔날레
3

아플 수 있잖아

You Could Get Sick

2014
Editorial

women_01

women_02

women_03

women_04

women_05

women_06

women_07

women_08

women_09

women_10

women_11

women_12

일상의실천에서 한국여성민우회의 인터뷰 책자인 <아플 수 있잖아>를 진행했습니다.
<아플 수 있잖아>는 중증질환을 겪었던 여성들의 고민과 걱정 그리고 사회로 복귀하는 과정들을 인터뷰로 풀어낸 책자입니다. 이 책은 인터뷰라는 형식을 통해 병을 겪어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환우들의 이야기를 쉽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인터뷰 속에서 느낄 수 있는 투병의 아픔과 마음의 무거움을 ‘상처’와 ‘흉터’의 형태로 풀어내었습니다. 표지에 상처를 모티브로한 요소들을 보여주면서 자신들의 아픔을 담담하게 이야기한 여성들의 마음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더불어, 질환을 겪은 여성들이 일상으로 복귀하는 책의 내용에 맞게 밝은 색상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책의 이미지가 질환에만 국한되지 않고, 희망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