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yday Practice x Un sedicesimo
Everyday Practice x Un sedicesimo
EditorialGraphicPractice
2024
Un sedicesimo
3
*c-lab 8.0 <코러스CHORUS>
*c-lab 8.0 CHORUS
EditorialGraphic
2024
코리아나미술관
4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 〈투게더_ 몽테뉴의 고양이〉
Gyeonggi Ceramics Biennale 2024 ‘TOGETHER_ Montaigne's Cat’
GraphicMotion
2024
한국도자재단
4
체공녀 연대기 1931-2011
Women in the Sky: Gender and Labor in the Making of Modern Korea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B주류경제학
B주류경제학
Editorial
2024
밀리의서재토스
3
동대문 페스티벌_이동무대
Dongdaemun Festival_Moving Stage
EditorialGraphic
2024
동대문문화재단
5
서울디자인 2024
SEOUL DESIGN 2024
GraphicMotionWebsite
2024
서울디자인재단
4
무르익다
Mureu-ikda (Ripen)
GraphicMotion
2024
국립농업박물관
3
ACT 페스티벌 2024
ACT Festival 2024
GraphicIdentityMotion
2024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
4
서울아트가이드 Fall 2024 by 아트드렁크
Seoul Art Guide Fall 2024 by artdrunk
Editorial
2024
artdrunk
4
모두를 위한 무향
No Scents for Everyone
Graphic
2024
환경정의
3
네이버 한글한글 아름답게 캠페인
NAVER Beautiful Hangul Campaign
Website
2024
네이버 문화재단
4
LG 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3 
RE:ACT TO ZERO
LG CHEM SUSTAINABILITY REPORT 2023 RE:ACT TO ZERO
Editorial
2024
LG화학
3
경기도자미술관 소장품 상설전 《현대도예-오디세이》 도록
Odyssey of Contemporary Ceramic Art Exhibition Catalogue
Editorial
2024
경기도자미술관
5
세종문화회관 모든누구나
Sejong Center ‘Anyone for Everyone’
GraphicIdentity
2024
세종문화회관
3
권민호 개인전 《축원의 가루》
Minho Kwon’s Solo Exhibition, Powder of Blessing
Graphic
2024
권민호
4
집덕후들의 커뮤니티, 라이프집
Identity & Website design for Life.zip
IdentityWebsite
2024
라이프집
4
세종문화회관세종썸머페스티벌 2024
2024 Sejong Summer Festival
Graphic
2024
세종문화회관
4
SeMA 옴니버스 《끝없이 갈라지는 세계의 끝에서》
SeMA Omnibus : at the end of the world split endlessly
EditorialGraphicMotionSpace
2024
서울시립미술관
4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 2024-2025
National Theater Repertory Season 2024-2025
EditorialGraphicMotion
2024
국립극장
3

워커스 69호: 추모의 방식

WORKERS Vol. 69 Way of Remembrance

2020
Graphic

workers_no69-1

workers_no69-2

workers_no69-3

workers_no69-4

workers_no69-5

workers_no69-6

workers_no69-7

workers_no69-8

workers_no69-9

“90년대 여성운동가 상을 수상했고, 여성인권운동에 적극적이었으며, 서울대 우 조교 성희롱 사건 변론으로 직장 내 성희롱 개념을 한국에 도입한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성폭력 의혹과 함께 사망했다. 그가 사망한 후, 서울특별시장 5일장 장례를 비롯한 추모와 애도의 방식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시민사회 명망가들은 그의 장례위원에 이름을 올렸고, 일각에서는 성폭력 가해 책임을 죽음으로 회피한 그를 비판했으며, 여성단체 등은 연이어 ‘피해자와 연대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과연 우리는 한국 민주화세대의 상징이자, 시민운동가, 인권변호사, 최장수 서울시장 등의 업적을 세운 박원순의 죽음을 어떻게 기억하고 추모해야 할까. 그의 죽음은 한국 사회에 어떤 과제와 의미를 남겼을까. 안희정, 오거돈, 박원순에 이르는 ‘진보 명망가’들의 잇따른 권력형 성폭력. 주류가 된 민주화 세대 에게 과연 여성은 어떤 의미였을까.” – 편집부의 말 중에서

디자인. 권준호

클라이언트. 워커스

“Former Seoul Mayor Park Won-soon, who won the women’s rights award in the 1990s, was active in the women’s rights movement,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sexual harassment at work to Korea in the defense of the sexual harassment case involv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assistant Woo, died along with allegations of sexual violence. After his death, controversy erupted over the way he paid tribute and mourned, including the funeral of the Seoul mayor for five days. Civil society celebrities have been listed as members of his funeral committee, some have criticized him for avoiding responsibility for sexual assault with death, and women’s groups and others have announced their position to “join with the victims.” How should we remember and pay tribute to the death of Park Won-soon, who is a symbol of the Korean pro-democracy generation and has achieved achievements of civic activists, human rights lawyers and the longest-serving Seoul mayor? What tasks and meanings did his death leave for Korean society? A series of influence-peddling by “progressive aspirants” ranging from Ahn Hee-jung, Oh Keo-don and Park Won-soon. What did women mean to the mainstream generation of democracy?” – From the editorial department’s words

Design. Joonho Kwon

Client. 워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