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TSCH & POP: Korean Pop Art Now
KITSCH & POP: Korean Pop Art Now
GraphicMotion
2025
서울시립미술관
4
후마니타스 『우리들의 드라마』 표지 디자인
Humanitas <Our Drama> Cover Design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영등포선유도원축제
Yeongdeungpo Seonyudo Park Festival
GraphicMotion
2025
영등포문화재단
5
공공디자인 합니다
Do, Public Design
Editorial
2025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4
ACC XMF
ACC XMF
GraphicIdentityMotion
2025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3
힐마 아프 클린트: 적절한 소환
Hilma af Klint: Proper Summons
EditorialGraphicMotion
2025
부산현대미술관
3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 전시 디자인
Even on the day when waiting ends
EditorialGraphicWebsite
2025
경기도미술관
4
스탑메이킹센스포스터 & 굿즈
STOP MAKING SENSE Poster & MDs
Graphic
2025
찬란
3
전북도립미술관 《진격하는 B급들》
Jeonbuk Museum of Art 《B-Class Jokes》
EditorialGraphicSpace
2025
전북도립미술관
4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Seoul Light DDP 2025 Summer
Graphic
2025
서울디자인재단
5
2025 대한민국미술축제
2025 Korea Art Festival
GraphicIdentityMotion
2025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5
보고싶어, 니 영화! 2025
We Want Your Film! 2025
Graphic
2025
서울독립영화제
3
전기가오리 웹사이트
Philo Electro Ray Website
Website
2025
전기가오리
4
주한독일문화원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Goethe-Institut Korea’s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GraphicIdentity
2025
주한독일문화원
3
CODE Korea
CODE Korea
GraphicIdentityMotion
2025
Pitti Immagine
4
집중호우사이
Between Heavy Showers
Graphic
2025
정태춘 박은옥
4
전기가오리 E-Book, 명함, 시각물아이덴티티디자인
Philo Electro Ray E-Book, Business Cards, Visual Identity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
2025
전기가오리
4
눈꺼풀 안쪽의 정원
A Quiet Garden Behind My Eyes
Graphic
2025
조아영
3
설문대할망전시관 재개관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the Reopening of the Seolmundaehalmang Complex
GraphicMotion
2025
설문대할망전시관
4
2025 울산현대미술제 <굿 워캔드>
GOOD WORKEND
EditorialGraphicIdentity
2025
울산광역시
4

빛에 빚지다

To Be Indebted To The Light

2014
Editorial

change_001

change_002

change_003

change_004

change_005

change_006

change_007

change_008

change_009

change_010

change_011

change_012

change_013

change_014

change_015

change_016

change_017

일상의실천에서 2015년 최소한의 변화를 위한 달력 <빛에 빚지다>를 디자인했습니다.
‘최소한의 변화를 위한 사진’은 2009년 용산 참사 때 현장에 머물던 사진가들의 고민에서 처음 시작했습니다. 삶의 터전을 잃고 억울하게 희생 당했으면서도, 세상 떠날 권리마저 박탈당한 채 냉동고에 갇혀 있는 용산 희생자들을 목격하며 사진으로 세상에 필요한 ‘최소한의 변화’는 촉구할 수 있어야 한다는 다짐이 만들어낸 모임입니다.
6돌을 맞이한 ‘최소한의 변화를 위한 사진’은 올해 ‘마을’에 주목하려 합니다. 폭력적으로 강행되고 있는 해군기지와 고압 송전탑에 소박한 마을 공동체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제주 강정마을과 경남 밀양. 밀양의 고통이 지금은 경북 청도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소한의 변화를 위한 사진은 그 폭력의 현장을 직접 경험하고, 무너져 내리고 있는 마을의 본모습, 아름답고 넉넉한 마을, 사람과 자연을 품는 마을, 냇가에서 빨래하고 겨울엔 장작 패는 마을, 그 모든 마을을 사진에 담았습니다.
2015 달력 <빛에 빚지다>는 사진 한 장을 얻기 위해 한 줌 빛에, 숨 막히듯 아름다운 풍경에, 가슴저린 삶에 빚을 지고 사는 사진가들이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사회적 참여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달력 판매 수익금은 강정마을과 밀양, 청도마을에 전달합니다.
<빛에 빚지다>는 일상의물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http://everyday-object.kr
달력 사양
스케줄러: 15월력 / 210페이지 / 210x140mm
벽걸이형 달력: 15월력 / 15페이지 / 140x210mm
* 스케줄러와 벽걸이 달력이 세트로 함께 배송됩니다.
* 달력을 2개 이상 구매하신 분들께 ‘두부노트’를 사은품으로 함께 보내드립니다.

클라이언트. 최소한의 변화를 위한 달력

Client. 최소한의 변화를 위한 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