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현과 재연 전시 도록
Seeing Beyond Catalogue
2022전시
일상의실천이 롯데갤러리에서 진행된 재현과 재연 : Seeing Beyond&전시 도록을 진행했습니다. 재현과 재연은 추상미술과 대립되는 개념인 ‘구상미술’을 소개하는 전시로, 구상미술은 현실 세계, 특히 인간 형태의 표현에 주목하는 미술의 사조입니다. 개념미술 이후 등장한 예술은 시각에만 의존할 수 없어진 현대미술의 텍스트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높아졌으며, ‘텍스트 없이 해독 불가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며 난해함이 동시대 미술의 척도가 되어갔습니다.
재현과 재연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전시로, 시각을 통한 유희와 소통, 그리고 상상이라는 시각예술의 고유한 특징을 담은 작품을 소개하는 전시입니다. 일상의실천은 본 전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형태가 분명한 회화, 조각 작품들의 형상을 여러 각도에서 해석이 가능한 다면체를 차용하여 키 비주얼을 발전시켰고, 통일성 있는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해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명조 계열의 서체를 지면 전반에 활용하여, 근현대에 주로 발전된 구상미술의 과도기적 특징을 반영하고자 했습니다.
디자인. 권준호
사용 서체. 산작 (디자인. 김태룡)
사진. 김진솔
Everyday Practice designed the catalogue for Seeing Beyond&exhibition at Lotte Gallery. Seeing Beyond&is an exhibition that introduces ‘Figurative art’, a concept contrary to abstract art, and figurative art is an art trend that focuses on the real world, especially the expression of human forms. The art that appeared after conceptual art mainly consisted of “undecipherable works without text,” and difficulty became a measure of contemporary art.
Seeing Beyond&is an exhibition that starts with a critical mind about this phenomenon and introduces works that cont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visual art such as play, communication, and imagination through vision. Everyday Practice developed key visuals by borrowing polyhedra that can interpret the shapes of paintings and sculptures that are clearly covered in this exhibition from various angles. In addition, we tried to reflect the transitional features of Figurative art, which was mainly developed in modern times, by utilizing modern reinterpreted serif typefaces.
Design. Joonho Kwon
Font in Use. Sanjak By Taeryong Kim
Photography. Jinsol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