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BE Dolby Atmos 커버 디자인
VIBE Dolby Atmos Cover Design
Graphic
2022
VIBE
4
DMZ ART PROJECT 도록
DMZ ART PROJECT Catalogue
EditorialGraphic
2022
dmzartproject
4
SQUARE 아이덴티티 & 웹사이트
Identity & Website for SQUARE
IdentityWebsite
2022
SQUARE
4
신장 위구르 디스토피아 표지디자인
Xinjiang Uyghur dystopia cover design
Graphic
2022
생각의힘
3
아트플러그 연수 웹사이트
Art Plug Yeonsu Website
Website
2022
아트플러그 연수
3
라이브 클럽 빵 아이덴티티 디자인
Identity design for Live Club BBang
Identity
2022
5
먼곳의친구에게, 아프로—동남아시아연대를넘어도록
To A Faraway Friend : Beyond Afro-Southeast ASIAN Affinities Catalog
EditorialGraphic
2023
ASEAN
4
디자이너의 일상과 실천
A designer's Everyday and Practice
EditorialGraphicPractice
2023
Self-initiated Project
5
일상의실천 10주년 전시 도록 『일상의 실천』
10 Years of Everyday Practice EVERYDAY PRACTICE
EditorialPractice
2023
Self-initiated Project
5
네이버 바이브 <숨은명곡> 커버 디자인
NAVER VIBE <HIDDEN MASTERPIECE> COVER DESIGN
GraphicMotion
2022
NAVER
3
정체 불명의 이름
Unknown Name
EditorialGraphic
2022
atoostudio
3
나눔스퀘어 네오 웹사이트
NANUM Square Neo Website
Website
2022
NAVER
5
VIBE SIGNATURE 커버 디자인
VIBE SIGNATURE COVER DESIGN
Graphic
2022
NAVERVIBE
5
c-lab 5.0 공진화
c-lab 6.0 co-evolution
EditorialGraphic
2022
코리아나미술관
4
워커스 95호: 노동자 시간을 둘러싼 공중전
WORKERS Vol.95: Dogfight over Labor Time
Editorial
2022
워커스
4
제 4회 박수근미술상 박미화 도록
The 4th Park Soo Keun Art Award Miwha Park
Editorial
2022
박수근미술관
4
국제도서전 한국관 홍보물
International Book Fair Korea PR design
Editorial
2022
서울국제도서전
3
만동(滿動), 두번째 앨범 <빅썬>
MANDONG’s 2nd album <Big SUN>
Graphic
2022
만동
4
DMZ ART PROJECT 평화공존지대
DMZ ART PROJECT Peaceful Coexistence Zone
GraphicMotion
2022
dmzartproject
4
그라운드시소 웹사이트
Groundseesaw Website
MotionWebsite
2022
미디어앤아트
5
재현과 재연 전시 도록
Seeing Beyond Catalogue
Editorial
2022
롯데갤러리
2
언유주얼 굿즈 페어 웹사이트
Unusual Goods Fair
GraphicWebsite
2022
일상예술창작센터
3
선善도 악惡도 아닌
Neither Good nor Evil
EditorialGraphic
2022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5
2022 서울독립영화제 <사랑의 기호>
The 47th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The Art of Love>
GraphicMotion
2022
서울독립영화제
4
2022 공공디자인페스티벌 주제전시 <길몸삶터>
2022 Public Design Festival Theme Exhibition <Road, Body, Life, Space>
Practice
2022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4
나이키 월드컵 HERO 그래픽 디자인
NIKE World Cup HERO graphic design
GraphicMotion
2022
Nike
6
또 하나의 서울, 강과 산
Void in the City
EditorialGraphic
2022
서울도시건축전시관
3
새로운 일상의 탄생
the birth of a new everyday life
Editorial
2022
일상예술창작센터
5
나이키 대한민국 유니폼 패키지 디자인
World Cup national team's official uniform box
EditorialGraphic
2022
Nike
3
메소포타미아, 저 기록의 땅 전시 공간 그래픽
Mesopotamia, Great Cultural Innovations Exhibition graphic
GraphicSpace
2022
국립중앙박물관
3

거부당한 제안들 2013-2016

Rejected Proposals 2013-2016

2016
Editorial

rejected_posters0

rejected_posters1

rejected_posters2

rejected_posters3

rejected_posters4

일상의실천 디자이너 권준호가 Graphic Magazine 에서 개최하는 ‘포스터 이슈 2016’에 <거부당한 제안들 2013-2016> 이라는 제목의 포스터로 참여했습니다.

이 포스터(혹은 포스터를 구성하는 이미지)들은 2013년 부터 2016년 현재까지 작가, 큐레이터, 미술관 혹은 박물관 관장, 예술감독, 기획자 그리고 그 외의 실무자들로부터 거부당한 디자인 제안들이다. 이 작업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거부당했다.
1. 프로젝트의 성격과 맞지 않음
해당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톤(밝거나 따뜻한, 차갑거나 어두운, 진지하거나 가벼운, 급진적인 거나 보수적인)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경우다. 전시를 홍보하는 포스터를 작업할 때 디자이너에게 주어지는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다.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전시 제목과 작가의 작품 몇 점, 그리고 해독이 어려운 큐레이터의 글을 소재로 디자이너는 그 전시의 성격을 지면 위에 온전히 드러내야 한다.
2 디자이너의 재해석이 지나침
“자기 작업이라고 생각하고 해주세요”, “디자이너를 무한히 신뢰합니다” 같은 요구를 첫 미팅 때 해맑게 웃으며 요구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의 웃음이 워낙 순수해 보여서 ‘이번엔 진짜?’라는 헛된 희망을 가지고 작업하게 되는 경우다. 보통 이런 경우 ‘그럼 그렇지…’라는 혼잣말과 함께 처음부터 다시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3 최종 결정권자의 마음에 들지 않음
최종 결정권자는 각 기관에 따라 다른데, 대부분 관장, 부장, 예술감독과 같은 듣기만 해도 자동적으로 디자이너를 움츠러들게 하는 직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디자이너에게 절대 그 실체를 드러내지 않으며, 오로지 실무자를 통해 의견(을 가장한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 ‘관장님이 봄을 좋아해서 노란색을 써주세요’ 같은 지시사항을 듣고 있자면, 그 관장이란 실제 하는가 혹은 실무자의 감정을 포장해서 전달하기 위한 허깨비인가 하는 의문이 들곤 한다.
4 그냥 뭔가 마음에 들지 않음
디자이너를 상대하는 실무자는 1-3번의 이유로 제안을 거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사실 그냥 뭔가 알 수 없는 불편함’ 혹은 ‘뭔가 확 땡기지 않는 어색함’ 때문에 거부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런 경우 그 불편함과 어색함의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관건인데, 개인의 취향과 주관적 미감의 모호함 사이에서 헤매다 보면, 그 ‘무엇인가’의 실체를 선명하게 만드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