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디자인, 그 디자인은 왜 탈락했을까?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Monthly Design Special Issue Cultures and Histories of Indigenous People in North America
2024


















월간 디자인 [그 디자인은 왜 탈락했을까?] 특집에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B안이 소개되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자연, 신, 이웃과의 조화를 꿈꾼 북미 원주민의 모습을 그들의 예술과 공예품을 바탕으로 시각화하고자 하였습니다. 인디언의 복식과 장신구에 착안해 상징적 형태와 공통된 패턴을 도출하고 이를 재배열 및 재조합한 콜라주 방식으로 전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또한, 인디언 의상을 모티브로 한 작은 입자들은 정교하게 직조된 섬유 텍스처를 연상시켜 시각적 재미를 유도합니다.
그러나 국립중앙박물관이라는 불특정 다수가 방문하는 공립 기관의 특성상 유물의 형상을 변형한 디자인보다는 유물 그 자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디자인으로 시안이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비록 주력 시안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다층적 그래픽과 디테일을 적용하지 못했으나 이후 별자리를 모티브로 한 그래픽 요소를 개발해 전시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권준호, 임민재
한글 레터링. 김태룡, 임민재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The Monthly Design special issue ‘Why Did That Design Get Rejected?’ featured option B from Cultures and Histories of Indigenous People in North America. Everyday Practice wanted to visualise the Native Americans who dreamed of harmony with nature, the gods, and their neighbours, based on their arts and crafts. We drew on their dress and jewellery to derive symbolic forms and common patterns, which were then rearranged and reassembled in a collage approach to reveal the identity of the exhibition. The poster is inspired by their costumes, with small particles reminiscent of intricately woven textile textures, creating visual interes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s a public institution that is visit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e final design was decided to be a design that directly reflects the artefacts themselves, rather than a design that transforms the shape of the exhibits. Although we were unable to apply the multi-layered graphics and detailing that we had hoped to achieve in the original design, we were able to develop graphic elements based on constellation motifs that were subsequently placed efficiently in the exhibition space.
Design Director. Joonho Kwon
Design. Joonho Kwon, Minjae Lim
Korean Logotype design. Tearong Kim, Minjae Lim
Posted in.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