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실천에서 3D /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를 찾습니다 👀
일상의실천에서 3D /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를 찾습니다 👀
Everyday
2025
4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 웹사이트 디자인
Seoul Drum Festival 2025 & Website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MotionWebsite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4
2025-26 서울식물원 기획전 우리들의 자연, 행성적 공존
2025–26 Seoul Botanic Park Exhibition Our Nature, Planetary Coexistence
Graphic
2025
서울식물원
5
세화미술관 웹사이트
Sehwa Museum of Art Website
Website
2025
세화미술관
3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개관전
Opening Exhibition of the Children’s Museum at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raphicMotion
2025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4
서치라이트 웹사이트 및 아이덴티티 디자인
Searchlight Website & Identity Design
IdentityWebsite
2025
로파 서울
3
어린이박물관 아이덴티티 디자인
Identity Design for Children’s Museum
GraphicIdentity
2025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2
한양대학교 박물관 특별전 《시멘트:모멘트》
Cement: Moment Special Exhibition Catalogue for the Hanyang University Museum
Editorial
2025
한양대학교박물관
5
서울백화점
Local to Seoul 100 Diaries
GraphicMotion
2025
문화역서울284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3
불닭 브랜드 웹사이트
Buldak Brand Website
Website
2025
불닭삼양식품
4
2025 올리브영 프로젝트
2025 OLIVEYOUNG Project
EditorialGraphic
2025
올리브영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도록
Zeitgeist Project Publication
EditorialPractice
2025
Self-initiated Project
4
세종시즌 25 키비주얼 디자인
Sejong Season 25 Identity Key Visual Design
GraphicMotion
2025
세종문화회관
4
오늘도 무사히
Safe and sound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LX하우시스 2025 트렌드북
LX Hausys 2025 Trendbook
Graphic
2025
LX 하우시스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The Zeitgeist Project
GraphicPracticeWebsite
2025
일상의실천
5
세종시즌 25 아이덴티티 시스템 & 공연별 포스터
Identity System and Performance Posters for Sejong Season 25
GraphicIdentity
2025
세종문화회관
4
불온한 인권
Subversive Human Rights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더코너즈 건축사사무소 아이덴티티 디자인
THE CORNERZ Architects Identity Design
IdentityMotion
2025
더코너즈
3
나비클럽 소설선 『타오』
Nabiclub Novel Series <Thảo>
EditorialGraphic
2024
나비클럽
3
모두예술극장 기획 프로그램
MODU ART THEATER Program
Graphic
2024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4

월간 디자인, 그 디자인은 왜 탈락했을까?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Monthly Design Special Issue Cultures and Histories of Indigenous People in North America

2024
GraphicPress

월간 디자인 [그 디자인은 왜 탈락했을까?] 특집에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B안이 소개되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자연, 신, 이웃과의 조화를 꿈꾼 북미 원주민의 모습을 그들의 예술과 공예품을 바탕으로 시각화하고자 하였습니다. 인디언의 복식과 장신구에 착안해 상징적 형태와 공통된 패턴을 도출하고 이를 재배열 및 재조합한 콜라주 방식으로 전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또한, 인디언 의상을 모티브로 한 작은 입자들은 정교하게 직조된 섬유 텍스처를 연상시켜 시각적 재미를 유도합니다.

그러나 국립중앙박물관이라는 불특정 다수가 방문하는 공립 기관의 특성상 유물의 형상을 변형한 디자인보다는 유물 그 자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디자인으로 시안이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비록 주력 시안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다층적 그래픽과 디테일을 적용하지 못했으나 이후 별자리를 모티브로 한 그래픽 요소를 개발해 전시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권준호, 임민재
한글 레터링. 김태룡, 임민재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The Monthly Design special issue ‘Why Did That Design Get Rejected?’ featured option B from Cultures and Histories of Indigenous People in North America. Everyday Practice wanted to visualise the Native Americans who dreamed of harmony with nature, the gods, and their neighbours, based on their arts and crafts. We drew on their dress and jewellery to derive symbolic forms and common patterns, which were then rearranged and reassembled in a collage approach to reveal the identity of the exhibition. The poster is inspired by their costumes, with small particles reminiscent of intricately woven textile textures, creating visual interes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s a public institution that is visit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e final design was decided to be a design that directly reflects the artefacts themselves, rather than a design that transforms the shape of the exhibits. Although we were unable to apply the multi-layered graphics and detailing that we had hoped to achieve in the original design, we were able to develop graphic elements based on constellation motifs that were subsequently placed efficiently in the exhibition space.

Design Director. Joonho Kwon
Design. Joonho Kwon, Minjae Lim
Korean Logotype design. Tearong Kim, Minjae Lim

Posted in.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