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예술극장기획프로그램 <어둠속에, 풍경>
MODU ART THEATER Program <In the Dark, Landscape>
2024




장애예술인들의 창작·육성·교류 활동을 위해 조성된 국내 첫 ‘장애예술 공연장’인 모두예술극장에서 기획한 <어둠속에, 풍경>은 시각장애인, 비시각장애인, 무용수, 배우, 시각예술 작가 등 서로 다른 감각과 언어로 소통하고 작업하는 예술가들이
서로의 이름을 부르고, 마주하며, 함께 숨 쉬고, 몸을 맞대 찾아낸 새로운 세계로 초대하는 공연입니다.
일상의실천은 모두예술극장에서 ‘모두’의 ‘ᄆ’(사각형)과 ‘예술’의 ‘ᄋ’(원)을 활용하여 공연에 따라 사진이 들어가는 프레임이 다양하게 변주되는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또한 공연의 움직임을 시각화하여 ‘춤’의 동선을 시각화하고 상단의 시스템과 타이틀을 활용하여 메인 공연인 ‘어둠 속에, 풍경’의 특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김어진
디자인. 양현호
클라이언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In the Dark, Landscape>, curated by MODU ART THEATER, Korea’s first ‘Disability Arts Theater’ created for the creation, nurturing, and exchange of artists with disabilities, is a performance that invites artists who communicate and work with different senses and languages, such as the visually impaired, non-visually impaired, dancers, actors, and visual artists, to a new world where they can call each other’s names, meet, breathe, and find each other.
It is a performance that invites you to enter a new world found by calling each other’s names, facing each other, breathing together, and touching each other.
Everyday Practice used the form of ‘ᄆ‘ (square) and ‘ᄋ‘ (circle) of the MODU ART THEATER to build a design system in which the frame that the photographs are placed in varie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And also wanted to visualize the movement of the performance to visualize the movement of the ‘dance’ and direct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performance, <In the Dark, Landscape>, by utilizing the title and system at the top.
Project Director. Eojin Kim
Design. Hyunho Yang
Client.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