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럴그래픽스 웹사이트
generalgraphics Website
Website
2023
제너럴그래픽스
2
소사공단 : 기계를 짓는 공장
SOSA Industrial Complex: A factory that builds machines
EditorialGraphicMotion
2023
단추출판사
4
피아노로 돌아가다
Counterpoint
Editorial
2023
위고
3
디오리진 아이덴티티 디자인
Identity design for the Origin
Identity
2023
디오리진
4
모두예술주간2023 〈장애예술 매니페스토〉
Disability Art Week in Seoul 2023
EditorialGraphicMotion
2023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4
제 15회 DMZ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The 15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GraphicIdentityMotion
2023
DMZ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4
LG 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3 웹사이트
RE:ACT TO ZERO
MotionWebsite
2023
LG화학
4
2022 금천예술공장아카이브
2022 Geumcheon Archive
Editorial
2023
금천예술공장
4
보고싶어, 니 영화! 2023
We want your film! 2023
Graphic
2023
서울독립영화제
3
나비클럽 소설선
Nabiclub Novel Series
EditorialGraphic
2023
나비클럽
3
언유주얼 굿즈 페어 2023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 웹사이트
Unusual Goods Fair 2023 Graphic Application & Website
GraphicSpaceWebsite
2023
일상예술창작센터
4
2023 제로원데이
ZER01NE DAY 2023
EditorialGraphicMotion
2023
ZER01NE
5
베테랑의 몸
The Veteran’s Body
Editorial
2023
한겨레출판
3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 2023-2024
National Theater Repertory Season 2023-2024
Graphic
2023
국립극장
4
LG 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3 RE:ACT TO ZERO
LG CHEM SUSTAINABILITY REPORT 2023 RE:ACT TO ZERO
Editorial
2023
LG화학
4
이것도노동이다
This is also Labor
Editorial
2022
전국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협회
3
신세계백화점 경기점 리뉴얼 오픈 [피어나다]
Shinsegae Department Store in Jukjeon Renewal Design [Bloom]
GraphicMotion
2023
Shinsegae Department Store
2
제9회 아마도 사진상 김동준 개인전 <방해하는 추출, 밀어두는 소화>
The 9th Amado Photography Award-Kim DongJun Solo Exhibition, <Distorting Extraction, Storing Digestion>
EditorialGraphic
2022 2023
아마도예술공간
4
아트선재센터 웹사이트
Art Sonje Center Website
Website
2023
아트선재센터
3
아마도애뉴얼날레_목하진행중 도록
Amado Annualale Catalog
Editorial
2023
아마도예술공간
4

세종대왕과 음악 황종

King Sejong and Music HWANGJONG

2018
Graphic

hj_poster_01

hj_poster_02

hj_poster_03

hj_001

hj_002

hj_003

hj_004

hj_005

hj_006

hj_007

hj_008

hj_009

hj_010

황종은 우리나라 전통음악에서 기준이 되는 음을 뜻합니다. 세종대왕은 즉위 10년 10월에 중국의 음악과 우리의 음악이 다름을 언명하고, 중국식 제도를 벗어난 새로운 표준음인 황종을 제정, 배포했습니다. 세종대황은 한글 창제를 통해 중국식 언어 체계에서 독립을 시도했고, 황종으로 상징되는 음악을 통해 국가의 자주성을 유지하려 노력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시회에 참여한 10개 팀의 작가는 정간보의 해석, 황종과 12율의 가시화, 균형과 균제, 기준에 대한 성찰 등 통해 세종대왕의 음악적 업적을 재조명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흑백과 형광 핑크 컬러의 대비, 한글 흘림체와 디지털 벡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한문의 대비를 통해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주제를 시각화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디자인. 권준호
모션 그래픽. 입자필드

HWANGJONG means the standard soun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ing Sejong declared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music and Korean music in the 10th year, and established and distributed HWANGJONG, a new standard sound outside the Chinese system. Through the invention of Han-gul, King Sejong attempted to gain independence from the Chinese language system and to maintain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 through music symbolized by HWANGJONG. The artists of the 10 teams who participated in the exhibition reviewed King Sejong’s musical achievements by interpreting Jeongganbo, visualizing HWANGJONG and the 12th rate, balance and uniformity, and reflecting on standards. Everyday Practice tried to visualize the traditional theme of ‘modern reinterpretation’ by contrasting black and white with pink colors and contrasting Chinese characters with Korean-language flowing and digital vector graphics.

Design. Joonho Kwon
Motion Graphic. Particl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