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or+] 디자인 스튜디오 일상의실천: 주어진 일에 그치지 않는 디자이너의 태도를 말하다
[Creator+] Design Studio Everyday Practice: Talking about the attitude of a designer who does not stop at the given task
Press
2024
디자인플러스
3
[Creator+] 일상의실천의 A to Z: <디자인플러스>부터 <2024 올해의 프로젝트>까지
[Creator+] A to Z of Everyday Practice: From <Design Plus> to <2024 Project of the Year>
Press
2024
디자인플러스
3
Everyday Practice x Un sedicesimo
Everyday Practice x Un sedicesimo
EditorialGraphicPractice
2024
Un sedicesimo
3
*c-lab 8.0 <코러스CHORUS>
*c-lab 8.0 CHORUS
EditorialGraphic
2024
코리아나미술관
4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 〈투게더_ 몽테뉴의 고양이〉
Gyeonggi Ceramics Biennale 2024 ‘TOGETHER_ Montaigne's Cat’
GraphicMotion
2024
한국도자재단
4
체공녀 연대기 1931-2011
Women in the Sky: Gender and Labor in the Making of Modern Korea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B주류경제학
B주류경제학
Editorial
2024
밀리의서재토스
3
동대문 페스티벌_이동무대
Dongdaemun Festival_Moving Stage
EditorialGraphic
2024
동대문문화재단
5
서울디자인 2024
SEOUL DESIGN 2024
GraphicMotionWebsite
2024
서울디자인재단
4
무르익다
Mureu-ikda (Ripen)
GraphicMotion
2024
국립농업박물관
3
ACT 페스티벌 2024
ACT Festival 2024
GraphicIdentityMotion
2024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
4
서울아트가이드 Fall 2024 by 아트드렁크
Seoul Art Guide Fall 2024 by artdrunk
Editorial
2024
artdrunk
4
모두를 위한 무향
No Scents for Everyone
Graphic
2024
환경정의
3
네이버 한글한글 아름답게 캠페인
NAVER Beautiful Hangul Campaign
Website
2024
네이버 문화재단
4
LG 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3 
RE:ACT TO ZERO
LG CHEM SUSTAINABILITY REPORT 2023 RE:ACT TO ZERO
Editorial
2024
LG화학
3
경기도자미술관 소장품 상설전 《현대도예-오디세이》 도록
Odyssey of Contemporary Ceramic Art Exhibition Catalogue
Editorial
2024
경기도자미술관
5
세종문화회관 모든누구나
Sejong Center ‘Anyone for Everyone’
GraphicIdentity
2024
세종문화회관
3
권민호 개인전 《축원의 가루》
Minho Kwon’s Solo Exhibition, Powder of Blessing
Graphic
2024
권민호
4
집덕후들의 커뮤니티, 라이프집
Identity & Website design for Life.zip
IdentityWebsite
2024
라이프집
4
세종문화회관세종썸머페스티벌 2024
2024 Sejong Summer Festival
Graphic
2024
세종문화회관
4

제25회 4・3 미술제 <기억을 벼리다>

Forged into Collective Memory

2018
Graphic

FiCM_poster_A_s

FiCM_poster_B_s

FiCM_poster_C_s

43_poster_all

일상의실천에서 제주 4·3 70주년, 25회 4·3 미술제 기억을 벼리다를 위한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벼리다’는 ‘무디어진 날을 불에 달구고 두드려 날카롭게 만들다’ 는 의미로, 제주 4·3 항쟁의 기억과 의미를 되짚어보는 전시입니다. 일상의실천은 ‘진실, 기억 탄압, 역사 왜곡, 가해, 피해, 학살, 치유, 자존, 난민, 자본, 여성, 이주, 노동, 환경’ 등 전시가 포괄하는 주제를 담아내기 위해 섞이고 흩어지는 마블링 이미지와 신체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차용한 이미지를 활용하여 메인 그래픽을 구성했습니다.

“ ‘지배권력의 전유물로서의 역사’에 의해 억압받았던 진실 규명과 더불어 큰 목소리 가운데 작은 목소리를 들 려주는, 무엇보다 정치적 실천과 그 궤를 함께 한다. “제 25회 제주 4·3 미술제”는 시간의 제약 속에 있는 관람자로서 현재에 대한 역사 적 문제의식을 가지고 개별 작품이 우리에게 ‘진실, 기억 탄압, 역사 왜곡, 가해, 피해, 학살, 치유, 난민, 자본, 여성, 이주, 노동, 환경’ 등 을 세계사적 관계성과 현재적 상황에서 물으며 예술의 역사, 삶의 역사 속에서 되짚어볼 수 있는 기회이다.”
– 제25회 제주 4·3미술제 전시감독 안혜경

디자인. 권준호
레터링. 장수영 (양장점)

클라이언트. 아트스페이스 씨

Client. 아트스페이스 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