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라이트 DDP 2025 가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Seoul Light DDP 2025 Autumn
Graphic
2025
서울디자인재단
4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 아이덴티티, 사이니지 시스템 디자인

Seoul Dance Creation Center (SDCC)
Identity and Signage System Design
IdentityMotionSpace
2025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
3
KITSCH & POP: Korean Pop Art Now
KITSCH & POP: Korean Pop Art Now
GraphicMotion
2025
서울시립미술관
4
후마니타스 『우리들의 드라마』 표지 디자인
Humanitas <Our Drama> Cover Design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글라스바우한 & 브런질 웹사이트
Glasbau-hahn & Bruynzeel Website
Website
2025
새로움아이
1
영등포선유도원축제
Yeongdeungpo Seonyudo Park Festival
GraphicMotion
2025
영등포문화재단
5
공공디자인 합니다
Do, Public Design
Editorial
2025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4
ACC XMF
ACC XMF
GraphicIdentityMotion
2025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3
힐마 아프 클린트: 적절한 소환
Hilma af Klint: Proper Summons
EditorialGraphicMotion
2025
부산현대미술관
3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 전시 디자인
Even on the day when waiting ends
EditorialGraphicWebsite
2025
경기도미술관
4
스탑메이킹센스포스터 & 굿즈
STOP MAKING SENSE Poster & MDs
Graphic
2025
찬란
3
전북도립미술관 《진격하는 B급들》
Jeonbuk Museum of Art 《B-Class Jokes》
EditorialGraphicSpace
2025
전북도립미술관
4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Seoul Light DDP 2025 Summer
Graphic
2025
서울디자인재단
5
2025 대한민국미술축제
2025 Korea Art Festival
GraphicIdentityMotion
2025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5
보고싶어, 니 영화! 2025
We Want Your Film! 2025
Graphic
2025
서울독립영화제
3
전기가오리 웹사이트
Philo Electro Ray Website
Website
2025
전기가오리
4
주한독일문화원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Goethe-Institut Korea’s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GraphicIdentity
2025
주한독일문화원
3
CODE Korea
CODE Korea
GraphicIdentityMotion
2025
Pitti Immagine
4
집중호우사이
Between Heavy Showers
Graphic
2025
정태춘 박은옥
4
전기가오리 E-Book, 명함, 시각물아이덴티티디자인
Philo Electro Ray E-Book, Business Cards, Visual Identity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
2025
전기가오리
4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 전시 디자인

Even on the day when waiting ends

2025
EditorialGraphicWebsite

경기도 미술관에서 주최한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는 인류가 초래한 기후 위기로부터 회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전하는 전시입니다. 이 전시는 자연의 관점에서 인류의 회복되길 기원하는 공생의 이야기를 다양한 미술 작품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이 전시의 방향을 ‘회복의 풍경(A Panorama of Recovery)’로 정하고, 태초의 생명체를 상징하는 다양한 형태의 모티프를 개발했습니다. 자연 현상에서 발생하는 피보나치수열의 숫자로 증식하는 다양한 모티프는 서로가 한 데 모여 하나의 풍경(Panorama)을 연출합니다. 다양한 생명체의 풍경은 매체마다 다른 방식으로 재연되면서 전시의 맥락을 선명하게 전달합니다.

디자인. 김어진
개발. 양나원
사진. 김진솔

클라이언트. 경기도미술관

The exhibition <Even on the day when waiting ends>, hosted by the GMoMA(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conveys a wish for recovery from the climate crisis caused by humanity. This exhibition presents a story of symbiosis, wishing for humanity’s recovery from nature’s perspective, through diverse artworks.

Everyday Practice defined the exhibition’s direction as ‘A Panorama of Recovery’ and developed diverse motifs symbolizing primordial lifeforms. These motifs, proliferating through the Fibonacci sequence numbers found in natural phenomena, converge to create a single panorama. The panorama of diverse lifeforms is recreated in different ways across each medium, clearly conveying the exhibition’s context.

Design. Eojin Kim
Development: Nawon Yang
Photography. @jskstudio_official

Client. 경기도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