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비축기지
Culture Tank
2017Editorial
























| address. | 서울시 마포구 포은로 127 망원제일빌딩 3층 |
| email. | hello@everyday-practice.com |
| tel. | 02.6352.7407 |
| instagram. | @hello_ep |
| address. | 127, Poeun-ro, Mapo-gu, Seoul, Republic of Korea |
| email. | hello@everyday-practice.com |
| tel. | 02.6352.7407 |
| instagram. | @hello_ep |
"*" indicates required fields
"*" indicates required fields
| 2017.4 | ⟨운동의 방식⟩, 탈영역우정국 |
| 2018.12 | ⟨Everyday Practice Poster Show 2013 – 2018⟩, 복합문화예술공간 행화탕 |
| 2023.4 | 일상의실천 10주년 전시 ⟨Everyday Practice⟩, 무신사 테라스 |
| 2013 | 한국 타이포그라피학회 회원전 |
| 2015 | ⟨Printing Studio Show⟩, KCDF 갤러리 |
| 2015.1 | ⟨XS: 영 스튜디오 콜렉션⟩, 탈영역 우정국 |
| 2016.1 | 세계문자심포지아 2016 ⟨행랑⟩, 낙원상가 일대 |
| 2016 | ⟨교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
| 2016 | ⟨AGI(국제그래픽연맹) Open/Congress “아이 러브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 2017 | ⟨새공공디자인 2017: 안녕, 낯선 사람⟩, 문화역서울 284 |
| 2018.3 | ⟨웅얼거리고 일렁거리는⟩, 백남준아트센터 |
| 2018.6 | SeMA 개관30주년 기념전: ⟨디지털 프롬나드⟩, 서울시립미술관 |
| 2019.4 | 세월호 참사 5주기 추념전 ⟨바다는 가라앉지 않는다⟩, 보안여관 |
| 2019.6 | ⟨잠금해제 UNLOCK⟩, 민주인권기념관 |
| 2019.7 | ⟨리얼-리얼시티(REAL-Real City)⟩, 아르코미술관 |
| 2019.8 | ⟨에이징월드⟩, 서울시립미술관 |
| 2019.1 | ⟨광장⟩,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
| 2019.1 | ⟨타이포잔치 2019: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문화역서울 284 |
| 2020.3 | ⟨새일꾼 1948-2020:여러분의 대표를 뽑아 국회로 보내시오⟩, 일민미술관 |
| 2021.9 | ⟨오노프⟩, 부산시립미술관 |
| 2021.12.1 | ⟨미래가 그립나요?⟩, 현대 모터스튜디오 |
| 2022.4 | ⟨나는 미술관에 OO하러 간다⟩, 부산시립미술관 |
| 2012 | 디자인 위크 라이징 스타 (Design Week Rising Star) / 영국 |
| 2017 | 5회 국제 타이포그라피 비엔날레 / 큐레이터 / 한국 |
| 2017 | AGI(Alliance Graphique Internationale 국제그래픽연맹) 회원 |
| 2019 | 6회 국제 타이포그라피 비엔날레 / 큐레이터 / 한국 |
| 2019 | ‘2019 코리아 디자인 어워드’ 커뮤니케이션 부문 대상 |
| 2021 | 제20회 서울디자인페스티벌 / 아트디렉터 / 한국 |
| 2022 | 제1회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길몸삶터 / 초대 큐레이터 / 한국 |
| 2017.4 | ⟨운동의 방식⟩, 탈영역우정국 |
| 2018.12 | ⟨Everyday Practice Poster Show 2013 – 2018⟩, 복합문화예술공간 행화탕 |
| 2023.4 | 일상의실천 10주년 전시 ⟨Everyday Practice⟩, 무신사 테라스 |
| 2013 | 한국 타이포그라피학회 회원전 |
| 2015 | ⟨Printing Studio Show⟩, KCDF 갤러리 |
| 2015.1 | ⟨XS: 영 스튜디오 콜렉션⟩, 탈영역 우정국 |
| 2016.1 | 세계문자심포지아 2016 ⟨행랑⟩, 낙원상가 일대 |
| 2016 | ⟨교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
| 2016 | ⟨AGI(국제그래픽연맹) Open/Congress “아이 러브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 2017 | ⟨새공공디자인 2017: 안녕, 낯선 사람⟩, 문화역서울 284 |
| 2018.3 | ⟨웅얼거리고 일렁거리는⟩, 백남준아트센터 |
| 2018.6 | SeMA 개관30주년 기념전: ⟨디지털 프롬나드⟩, 서울시립미술관 |
| 2019.4 | 세월호 참사 5주기 추념전 ⟨바다는 가라앉지 않는다⟩, 보안여관 |
| 2019.6 | ⟨잠금해제 UNLOCK⟩, 민주인권기념관 |
| 2019.7 | ⟨리얼-리얼시티(REAL-Real City)⟩, 아르코미술관 |
| 2019.8 | ⟨에이징월드⟩, 서울시립미술관 |
| 2019.1 | ⟨광장⟩,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
| 2019.1 | ⟨타이포잔치 2019: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문화역서울 284 |
| 2020.3 | ⟨새일꾼 1948-2020:여러분의 대표를 뽑아 국회로 보내시오⟩, 일민미술관 |
| 2021.9 | ⟨오노프⟩, 부산시립미술관 |
| 2021.12.1 | ⟨미래가 그립나요?⟩, 현대 모터스튜디오 |
| 2022.4 | ⟨나는 미술관에 OO하러 간다⟩, 부산시립미술관 |
| 2012 | 디자인 위크 라이징 스타 (Design Week Rising Star) / 영국 |
| 2017 | 5회 국제 타이포그라피 비엔날레 / 큐레이터 / 한국 |
| 2017 | AGI(Alliance Graphique Internationale 국제그래픽연맹) 회원 |
| 2019 | 6회 국제 타이포그라피 비엔날레 / 큐레이터 / 한국 |
| 2019 | ‘2019 코리아 디자인 어워드’ 커뮤니케이션 부문 대상 |
| 2021 | 제20회 서울디자인페스티벌 / 아트디렉터 / 한국 |
| 2022 | 제1회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길몸삶터 / 초대 큐레이터 / 한국 |
일반인의 접근과 이용이 통제됐던 산업화 시대 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문화비축기지라는 이름의 복합문화공원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철거와 신축을 통해 개발이 아닌, 기존 자원의 재생을 통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문화비축기지는 서울의 역사와 현재를 살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공간입니다. 일상의실천은 석유비축기지로 사용되었던 공간의 특징을 석유의 액체성으로 설정하고, 유동적인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문화공간의 성격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디자인. 권준호
디자인 도움. 김리원, 김은희
공간 사진. 박기덕
클라이언트. 문화비축기지
Client. 문화비축기지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