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 XMF
ACC XMF
GraphicIdentityMotion
2025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3
힐마 아프 클린트: 적절한 소환
Hilma af Klint: Proper Summons
EditorialGraphicMotion
2025
부산현대미술관
3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 전시 디자인
Even on the day when waiting ends
EditorialGraphicWebsite
2025
경기도미술관
4
스탑메이킹센스포스터 & 굿즈
STOP MAKING SENSE Poster & MDs
Graphic
2025
찬란
3
전북도립미술관 《진격하는 B급들》
Jeonbuk Museum of Art 《B-Class Jokes》
EditorialGraphicSpace
2025
전북도립미술관
4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Seoul Light DDP 2025 Summer
Graphic
2025
서울디자인재단
5
2025 대한민국미술축제
2025 Korea Art Festival
GraphicIdentityMotion
2025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5
보고싶어, 니 영화! 2025
We Want Your Film! 2025
Graphic
2025
서울독립영화제
3
전기가오리 웹사이트
Philo Electro Ray Website
Website
2025
전기가오리
4
주한독일문화원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Goethe-Institut Korea’s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GraphicIdentity
2025
주한독일문화원
3
CODE Korea
CODE Korea
GraphicIdentityMotion
2025
Pitti Immagine
4
집중호우사이
Between Heavy Showers
Graphic
2025
정태춘 박은옥
4
전기가오리 E-Book, 명함, 시각물아이덴티티디자인
Philo Electro Ray E-Book, Business Cards, Visual Identity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
2025
전기가오리
4
눈꺼풀 안쪽의 정원
A Quiet Garden Behind My Eyes
Graphic
2025
조아영
3
설문대할망전시관 재개관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the Reopening of the Seolmundaehalmang Complex
GraphicMotion
2025
설문대할망전시관
4
2025 울산현대미술제 <굿 워캔드>
GOOD WORKEND
EditorialGraphicIdentity
2025
울산광역시
4
새로움아이 아이덴티티 & 웹사이트
Saeroumi Identity & Website
IdentityMotionWebsite
2025
새로움아이
3
『부산, 미술관, 현대』
“Busan, Museum, Contemporary”
Editorial
2025
부산현대미술관
3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마나 모아나: 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pecial Exhibition
Manamoana: Art of the Sacred Sea, Oceania
Graphic
2025
국립중앙박물관
5
정의의 그늘 아래에서
Under the Shadow of Justice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바이오필리아: 흙 한줌의 우주

BIOPHILIA: A handful of earth

2020
EditorialGraphicMotion

BIOPHILIA_1

BIOPHILIA_2

BIOPHILIA_3

BIOPHILIA_4

BIOPHILIA_5

BIOPHILIA_6

BIOPHILIA_7

바이오필리아는 인류세로 인해 발생한 기후 위기, 지구 생태계, 종(種)의 다양성 등 자연과 우주의 순환 구조 붕괴와 미래지향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전시입니다. 자연과 인류의 조화를 통해 인류세의 확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종(種)의 변이성에 대한 이해와 생물종 다양성 보존을 모색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일상의실천은 ‘인간의 유전자에는 자연에 대한 애착과 회귀 본능이 내재돼 있다’는 바이오필리아 학설을 바탕으로 유전자가 기록된 염색체의 형태를 모티프로, 번식과 생존을 이어가는 종(種)의 자생성을 자가증식하는 가변적인 패턴으로 개발했습니다. 자유롭게 변이/변형하는 패턴은 다양한 움직임으로 ‘생명이 있는’ 그래픽모티프가 되고, 그 자체로 바이오필리아의 개념이 됩니다.
본 전시는 2020년 11월 24일부터 2021년 3월 1일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립니다. 특별히 바이오필리아 디자인의 개념을 지지해주신 이기모 큐레이터와 김혜현 님에게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디자인. 김어진
모션 그래픽. V-code
사운드. 김어진

클라이언트.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

BIOPHILIA is an exhibition that examines the collapse of the circulatory structure of nature and the universe, including the climate crisis caused by antheropocene and the global ecosystem crisis, and seeks future-oriented solutions to such problems. The exhibition is also designed to prevent the spread of antheropocene through the harmony of nature and humanity, while also seeking an understanding of species variability and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We visually expressed the form of chromosomes on which genes were recorded based on the BIOPHILIA theory that “human genes contain an inherent attachment to nature and a regression instinct.” These interpretations were designed and applied to the main graphics in a variable pattern that self-reproduces the self-producing nature of the species. The free-changing pattern becomes a “living” graphic motif in various movements, and that is the design concept of BIOPHILIA.
This exhibition will be held from November 24, 2020 to March 1, 2021 at the National Asian Cultural Center. We especially thank to the curator Gimo Yi and Hyehyun Kim for supporting the concept of BIOPHILIA design.

Design. Eojin Kim
Motion Graphic. V-Code
Sound. Eojin Kim

Client.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