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무사히
Safe and sound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LX하우시스 2025 트렌드북
LX Hausys 2025 Trendbook
Graphic
2025
LX 하우시스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The Zeitgeist Project
GraphicPracticeWebsite
2025
일상의실천
5
불온한 인권
Subversive Human Rights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더코너즈 건축사사무소 아이덴티티 디자인
THE CORNERZ Architects Identity Design
IdentityMotion
2025
더코너즈
3
나비클럽 소설선 『타오』
Nabiclub Novel Series <Thảo>
EditorialGraphic
2024
나비클럽
3
모두예술극장 기획 프로그램
MODU ART THEATER Program
Graphic
2024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4
B주류경제학 연말에디션
<B-ECONOMICS> Year-end Edition
Editorial
2024
밀리의서재토스
4
상속자들
Les Héritiers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MODE at Bangkok 모드 엣 방콕
MODE at Bangkok
GraphicMotion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4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2024 <오공무한대 50 to Infinity>
The 50th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2024 <50 to Infinity>
EditorialGraphicMotion
2024
서울독립영화제
5
ACT 페스티벌 도록
ACT Festival Program Catalogue
EditorialGraphic
2024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
3
2024 디자인페스티벌주제관 <덕후가세상을바꾼다> 일상의실천
2024 Design Festival Theme Pavilion <Geeks Change the World> Everyday Practice
Graphic
2024
5
《시대 정신》 프로젝트 웹사이트
The Zeitgeist website
EverydayPracticeWebsite
2025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Zeitgeist
EverydayGraphicPractice
2025
4
일상의실천에서 웹사이트 기획 및 디자인 인턴을 찾습니다.
일상의실천에서 웹사이트 기획 및 디자인 인턴을 찾습니다.
Everyday
2025
5
[Creator+] 디자인 스튜디오 일상의실천: 주어진 일에 그치지 않는 디자이너의 태도를 말하다
[Creator+] Design Studio Everyday Practice: Talking about the attitude of a designer who does not stop at the given task
Press
2024
디자인플러스
3
[Creator+] 일상의실천의 A to Z: <디자인플러스>부터 <2024 올해의 프로젝트>까지
[Creator+] A to Z of Everyday Practice: From <Design Plus> to <2024 Project of the Year>
Press
2024
디자인플러스
3
Everyday Practice x Un sedicesimo
Everyday Practice x Un sedicesimo
EditorialGraphicPractice
2024
Un sedicesimo
3
*c-lab 8.0 <코러스CHORUS>
*c-lab 8.0 CHORUS
EditorialGraphic
2024
코리아나미술관
4

일상의 역사

A History of Practice

2020
Practice

history_of_practice_01

history_of_practice_02

history_of_practice_03

history_of_practice_04

history_of_practice_05

history_of_practice_06

history_of_practice_07

history_of_practice_08

history_of_practice_09

history_of_practice_10

history_of_practice_11

history_of_practice_12

history_of_practice_13

history_of_practice_14

history_of_practice_15

history_of_practice_16

history_of_practice_17

history_of_practice_18

history_of_practice_19

일상의실천이 16명의 일러스트레이터와 함께 일상의 역사라는 이름의 2021년 달력을 만들었습니다. 일상의 역사에는 기존 달력과는 조금 다른 기념일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 기념일들은 기성 달력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것이지만,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기억해야 할 가치가 있는 일상 속에 존재하는 역사입니다.

* 이번 프로젝트는 삼원특수지의 같이의 가치 프로젝트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일상의 역사

역사는 수많은 시간의 퇴적이 만들어낸 거대한 덩어리이지만, 정작 시간은 아무런 힘이 없다. 시간은 단지 어제와 오늘 그리고 다가오지 않은 한 치 앞을 향해 단방향으로 흐르고 쌓일 뿐, 행복의 순간을 기록할 수도 참사의 기억을 유지할 수도 없다. 이는 흡사 매일을 살아가면서 불완전한 과거의 얼굴을 오늘날의 풍경으로 다시 마주해야 하는 우리의 일상과 닮아 있다. 순간을 기록하지 못하고 기억을 유지하지 못한 우리의 일상은 아무런 힘을 갖지 못한다.

흐르고 쌓이는 동시에 힘없이 지워지기를 반복하는 시간을 남겨두고자 우리는 일상의 역사를 기록하고자 한다. 이름 없는 노동자의 잊힌 외침과 쉽게 간과한 기후 위기 그리고 불평등한 인권의 불온한 기록은 힘없는 각자의 일상이 모여 만든 각성의 순간이다. 행복과 절망의 반복이 퇴적해 이뤄낸 각성의 역사. 우리는 이것을 일상의 역사라고 부르기로 한다.

일상의 역사는 열여섯 명의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려낸 열두 개의 얼굴을 각기 다른 질감의 종이에 담아낸다. 매월을 상징하는 열두 개의 얼굴 위에 공존하는 행복과 절망의 불온한 기록은 매일을 살아가면서도 잃지 말아야 할 역사의 증언에 다름 아니다. 그것을 놓치지 않고 기억하는 시간동안 우리의 일상은 비로소 값진 힘을 얻을 것이다.

Selected Anniversary

1월
5일 성폭력특별법 제정(1994)
20일 용산참사(2009)
29일 서지현 검사의 검찰 내 성폭력 실상 폭로(2018)

2월
2일 세계 습지의 날
3일 헌법재판소 호주제 헌법불합치 결정(2005)
8일 남녀고용평등법 3차 개정,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의무화(1999)
10일 국내 최초의 직장 내 성희롱 소송 사건인 서울대 신 교수 사건 대법원 승소(1998)

3월
3일 세계 야생동식물의 날
8일 세계여성의날
11일 후쿠시마 핵발전 사고(2011)
21일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

4월
4일 종이 안 쓰는 날
7일 디지털 성범죄 사이트 ‘소라넷’ 폐쇄(2016)
11일 헌법재판소,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2019)
16일 세월호 참사(2014)
20일 장애인차별철폐의 날
22일 지구의날

5월
1일 노동자의 날(Labour Day)
17일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18일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23일 세계 물고기 이동의 날 (매년 5월 셋째주 토요일)
27일 조선 최초 여성단체 ‘근우회’ 설립(1927)

6월
5일 환경의 날
10일 6월 민주항쟁 기념일(1987)
19일 고리원전1호기 영구정지(2017)
20일 세계 난민의 날(World Refugee Day)(UN)
28일 크리스토퍼 길 해방의 날

7월
3일 전국여성노동조합연맹 창립일(1999)
3일 세계 비닐봉지 없는 날
30일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철회 3차 희망버스(2011)

8월
4일 남녀고용평등법 2차 개정(1995)
14일 김학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 최초 공개 증언(1991)
22일 에너지의 날
25일 임신중단 합법화 촉구 시위(2018)
31일 가습기살균제참사(2011)

9월
3일 이소선 어머니 기일(2011)
6일 자원순환의 날
9일 백두대간 보호구역 지정(2005)
23일 양성애의 날

10월
11일 커밍아웃의 날
15일 영화배우 알리사 밀라노 ‘미투’ 운동 제안(2017)

11월
13일 전태일 열사 기일(1970)
20일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
26일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
25일 여성 폭력 국제 추방의 날

12월
7일 사육곰 첫 구출(2018)
10일 인권의 날
13일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일
15일 세계이주노동자의 날

디자인. 일상의실천

일러스트레이션 아트디렉션. 권민호(PaTI 일러스트레이션 스튜디오

참여작가.
1월 권민호
2월 조아영
3월 김민정
4월 박정견 / 박창규
5월 김희주 / 이지원 / 이재연
6월 장기욱
7월 강소이
8월 강유라
9월 이수연
10월 정호숙
11월 제예진 / 안다빈
12월 강서현

후원. 삼원특수지

도움. 녹색연합, 워커스, PaTI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한국여성민우회

인쇄. 퍼스트경일

사진. 김진솔

클라이언트. Self-initiated Project

History is an expansive rock composed of countless layers of time, but time itself is powerless to this process. It can only move forward, passing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into the unknown future, flowing and piling up in a single direction. Time is also unable to record moments of happiness or sustain memories of tragedy. Just as we do, it passes through the everyday, perceiving only a refracted vision of the past through the lens of the present. By failing to crystalize time and retain memories for posterity, our daily lives would remain powerless.

As a way of preserving moments in time, which repeatedly flows, cumulates, and dissolves, we want to record the history of the everyday. Forgotten utterances of nameless workers, conveniently overlooked climate issues, disturbing records of inequality are moments of awakening shaped from the daily lives of the powerless. The making of history through the sedimentation of recurrent happiness and despair. We refer to this as A History of Practice.

A History of Practice presents portraits by sixteen illustrators, each drawn on distinctly textured paper. Each symbolizing a month of the year, these twelve faces render visible disruptive records of happiness or despair—and their coexistence—acting as historical testimonies that should not be taken for granted as we move through the everyday. Our daily lives can only retain their value when we catch and hold onto these moments of remembrance.

Design. Everyday Practice

Illustration Art Direction. Minho Kwon(Pati Illustration Studio)

Participated Artists.
January - Minho Kwon
February - Jo Ahyoung
March - Kim Minjeong
April - Park Jeonggyeon / Park Changgyu
May - Kim Heeju / Lee Jiwon / Lee Jaeyeon
June - Jang Kiwuk
July - Kang Soi
August - Kang Yourah
September - Lee Suyeon
October - Jung Hosuk
November - Je Yejin / Ahn Dabin
December - 502(Kang Seohyun)

Sponsor. Samwon Paper

Support. Green Korea United, Workers, Pati. Paju Typography Institute, Korean Womenlink

Printing. First Kyungil

Photography. Jinsol Kim

Client. Self-initiated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