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올리브영 프로젝트
2025 OLIVEYOUNG Project
EditorialGraphic
2025
올리브영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도록
Zeitgeist Project Publication
EditorialPractice
2025
Self-initiated Project
4
세종시즌 25 키비주얼 디자인
Sejong Season 25 Identity Key Visual Design
GraphicMotion
2025
세종문화회관
4
오늘도 무사히
Safe and sound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LX하우시스 2025 트렌드북
LX Hausys 2025 Trendbook
Graphic
2025
LX 하우시스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The Zeitgeist Project
GraphicPracticeWebsite
2025
일상의실천
5
세종시즌 25 아이덴티티 시스템 & 공연별 포스터
Identity System and Performance Posters for Sejong Season 25
GraphicIdentity
2025
세종문화회관
4
불온한 인권
Subversive Human Rights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더코너즈 건축사사무소 아이덴티티 디자인
THE CORNERZ Architects Identity Design
IdentityMotion
2025
더코너즈
3
나비클럽 소설선 『타오』
Nabiclub Novel Series <Thảo>
EditorialGraphic
2024
나비클럽
3
모두예술극장 기획 프로그램
MODU ART THEATER Program
Graphic
2024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4
B주류경제학 연말에디션
<B-ECONOMICS> Year-end Edition
Editorial
2024
밀리의서재토스
4
상속자들
Les Héritiers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MODE at Bangkok 모드 엣 방콕
MODE at Bangkok
GraphicMotion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4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2024 <오공무한대 50 to Infinity>
The 50th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2024 <50 to Infinity>
EditorialGraphicMotion
2024
서울독립영화제
5
ACT 페스티벌 도록
ACT Festival Program Catalogue
EditorialGraphic
2024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
3
2024 디자인페스티벌주제관 <덕후가세상을바꾼다> 일상의실천
2024 Design Festival Theme Pavilion <Geeks Change the World> Everyday Practice
Graphic
2024
5
《시대 정신》 프로젝트 웹사이트
The Zeitgeist website
EverydayPracticeWebsite
2025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Zeitgeist
EverydayGraphicPractice
2025
4
일상의실천에서 웹사이트 기획 및 디자인 인턴을 찾습니다.
일상의실천에서 웹사이트 기획 및 디자인 인턴을 찾습니다.
Everyday
2025
5

CLOSE THE GAP

CLOSE THE GAP

2022
GraphicPress

CloseTheGap_01

CloseTheGap_02

CloseTheGap_03

우리는 사회가 정의 내린 성(젠더)의 틀 안에 갇혀 다른 성을 판단하고 구분하며 규정짓는다. 사회가 그어놓은 경계들을 다시 어지르고 흩트려놓으며, 격차를 허물고, 다시 읽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간극을 좁혀라 (CLOSE THE GAP)”라는 문구를 시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도구인 피켓의 지면에 적용한 후, 여러 피켓이 만나 하나의 선언문을 만들어내도록 구성했다. 이로써 경계를 허물고 격차를 줄여 나가는 우리의 소망을 시각화하고자 했다. 점점 이 경계들이 가까워져서 흐릿해지길. 격차라는 단어는 희미해지길.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젠더 바운더리가 탄생하길 바란다.

* 의미있는 프로젝트에 초대해 주신 월간디자인과 박슬기 기자님께 감사드립니다.

디자인 디렉션. 권준호
디자인. 김주애, 김초원
기획. 월간디자인
사진. 김진솔

출처. 월간디자인

People are trapped within the gender framework defined by society and judge different sex. We thought we had to re-arrange and scatter the boundaries defined by society, break the gap, and rethink the meaning of the boundaries.

We applied the phrase CLOSE THE GAP to pickets, a representative tool used in demonstrations, and then constructed several pickets to meet to produce a single declaration. With this, we tried to visualize our wish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and narrow the gap. We hope that these boundaries will gradually get closer and blurry, that the word gap will fade, and that a new gender boundary will be born that goes beyond the limits.

Design Direction. Joonho Kwon
Design. Juae Kim, Chowon Kim
Project By. Monthly Design
Photography. Jinsol Kim

Posted in. 월간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