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실천에서 편집 / 그래픽 디자이너를 찾습니다 👀
일상의실천에서 편집 / 그래픽 디자이너를 찾습니다 👀
Everyday
2025
4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Seoul Light DDP 2025 Summer
Graphic
2025
서울디자인재단
5
2025 대한민국미술축제
2025 Korea Art Festival
GraphicIdentityMotion
2025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5
보고싶어, 니 영화! 2025
We Want Your Film! 2025
Graphic
2025
서울독립영화제
3
전기가오리 웹사이트
Philo Electro Ray Website
Website
2025
전기가오리
4
주한독일문화원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Goethe-Institut Korea’s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GraphicIdentity
2025
주한독일문화원
3
CODE Korea
CODE Korea
GraphicIdentityMotion
2025
Pitti Immagine
4
집중호우사이
Between Heavy Showers
Graphic
2025
정태춘 박은옥
4
전기가오리 E-Book, 명함, 시각물아이덴티티디자인
Philo Electro Ray E-Book, Business Cards, Visual Identity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
2025
전기가오리
4
눈꺼풀 안쪽의 정원
A Quiet Garden Behind My Eyes
Graphic
2025
조아영
3
설문대할망전시관 재개관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the Reopening of the Seolmundaehalmang Complex
GraphicMotion
2025
설문대할망전시관
4
새로움아이 아이덴티티 & 웹사이트
Saeroumi Identity & Website
IdentityMotionWebsite
2025
새로움아이
3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마나 모아나: 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pecial Exhibition
Manamoana: Art of the Sacred Sea, Oceania
Graphic
2025
국립중앙박물관
5
정의의 그늘 아래에서
Under the Shadow of Justice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유영하는 세계: Bed, Bath, Bus
Floating World: Bed, Bath, Bus
GraphicMotion
2025
세화미술관
4
<떨어지는눈> 전시디자인
Take My Eyes Off
EditorialGraphicMotionSpace
2025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4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 웹사이트 디자인
Seoul Drum Festival 2025 & Website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MotionWebsite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4
2025-26 서울식물원 기획전 우리들의 자연, 행성적 공존
2025–26 Seoul Botanic Park Exhibition Our Nature, Planetary Coexistence
Graphic
2025
서울식물원
5
세화미술관 웹사이트
Sehwa Museum of Art Website
Website
2025
세화미술관
3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개관전
Opening Exhibition of the Children’s Museum at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raphicMotion
2025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4
서치라이트 웹사이트 및 아이덴티티 디자인
Searchlight Website & Identity Design
IdentityWebsite
2025
로파 서울
3

Poster Generator 1962-2018

Poster Generator 1962-2018

2018
Practice

Poster Generator 1962-2018은 선정된 소장품들을 관람객이 참여해서 새로운 포스터로 만들어내는 과정을 제공하는데, 소장품과 관람객이 만나서 재해석 되며 새로운 작업으로 탄생하게 되는 과정 전체를 디자인한다. 이것은 하나의 디자인 작업이 완성되는 과정을 은유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이자 공간 전체가 참여자의 행위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캔버스다.

큐레이터 혹은 평론가의 관점으로 기술된 소장품에 대한 작품해설 중에서 작품의 색체, 구조, 표현기법 등을 카테고리화 하여 키워드를 도출하고, 각 키워드를 반영할 수 있는 변환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참여하는 관람객들 각자가 예측 불가능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공간이다. 이 새로운 변환의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대화가 음성 인식 시스템을 통해 시각화되어 공간 속에 텍스트로 표현된다. 이미지가 특정 단어(요구)에 의해 변환되고 대화의 내용이 텍스트(의사소통, 타이포그래피)로 표현되는 공감각적인 공간을 구현해낸다. 여기에서 포스터(Poster)는 텍스트를 이미지화 시키는 과정을 공유하는 매개체이자 관람객 각자의 내적 심상을 대표하는 각자의 시각언어이며, ‘포스트 제네레이터(Post Generator)’와의 언어유희를 통해 AI시대 디자인의 존재 방식에 대한 질문까지 담아낸다.

SeMA 개관30주년 기념전: 디지털 프롬나드
2018.6.12 – 8.15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디자인 및 아트디렉션. 일상의실천
테크니컬 디렉터. 제이드웍스
큐레이터. 여경환
가구제작. 새로움아이
영상 및 사운드. 정문기(문화수도)
작품제작후원. 서울시립미술관, 한국콘텐츠진흥원

클라이언트. 서울시립미술관

Poster Generator 1962-2008, provides a process where the visitors participate in making new posters from the selected collections. What is designed by Everyday Practice is the full process in which the collections meet the audiences and reinterpreted into new works. This is a ‘design studio’ that is a metaphor for the process of completing a work of design, as well as a canvas where the whole space changes from moment to moment through the act of participants.

It is a space in which each participant creates new images that are unpredictable through the application of image conversion filters that reflect each of the keywords derived by categorizing the color, structure, and expression method of the works from among the commentaries on the collection, written in the viewpoint of curators or critics. In the process of this new conversion the dialogues of the participants are visualized through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expressed as texts within the space. This creates a multisensory space in which images are transformed by specific words(demands) and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s are expressed in texts(communication, typography). Here the posters are a medium for shar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ext into image and represent the internal image of each viewer, and through the play of words in ‘post generator’, also includes the question about design’s mod of existence in the age of AI.

Design & Art Direction. Everyday Practice
Technical Director. Jadeworks
Curator. Kyung-Hwan Yeo
Funiture. Saeroum Innovation
Video & Sound. Jeong Moon Ki(Capital Of Culture)
Production Support. Seoul Museum Of Art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Client. 서울시립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