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실천에서 3D /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를 찾습니다 👀
일상의실천에서 3D /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를 찾습니다 👀
Everyday
2025
4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 웹사이트 디자인
Seoul Drum Festival 2025 & Website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MotionWebsite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4
2025-26 서울식물원 기획전 우리들의 자연, 행성적 공존
2025–26 Seoul Botanic Park Exhibition Our Nature, Planetary Coexistence
Graphic
2025
서울식물원
5
세화미술관 웹사이트
Sehwa Museum of Art Website
Website
2025
세화미술관
3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개관전
Opening Exhibition of the Children’s Museum at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raphicMotion
2025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4
서치라이트 웹사이트 및 아이덴티티 디자인
Searchlight Website & Identity Design
IdentityWebsite
2025
로파 서울
3
어린이박물관 아이덴티티 디자인
Identity Design for Children’s Museum
GraphicIdentity
2025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2
한양대학교 박물관 특별전 《시멘트:모멘트》
Cement: Moment Special Exhibition Catalogue for the Hanyang University Museum
Editorial
2025
한양대학교박물관
5
서울백화점
Local to Seoul 100 Diaries
GraphicMotion
2025
문화역서울284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3
불닭 브랜드 웹사이트
Buldak Brand Website
Website
2025
불닭삼양식품
4
2025 올리브영 프로젝트
2025 OLIVEYOUNG Project
EditorialGraphic
2025
올리브영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도록
Zeitgeist Project Publication
EditorialPractice
2025
Self-initiated Project
4
세종시즌 25 키비주얼 디자인
Sejong Season 25 Identity Key Visual Design
GraphicMotion
2025
세종문화회관
4
오늘도 무사히
Safe and sound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LX하우시스 2025 트렌드북
LX Hausys 2025 Trendbook
Graphic
2025
LX 하우시스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The Zeitgeist Project
GraphicPracticeWebsite
2025
일상의실천
5
세종시즌 25 아이덴티티 시스템 & 공연별 포스터
Identity System and Performance Posters for Sejong Season 25
GraphicIdentity
2025
세종문화회관
4
불온한 인권
Subversive Human Rights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더코너즈 건축사사무소 아이덴티티 디자인
THE CORNERZ Architects Identity Design
IdentityMotion
2025
더코너즈
3
나비클럽 소설선 『타오』
Nabiclub Novel Series <Thảo>
EditorialGraphic
2024
나비클럽
3
모두예술극장 기획 프로그램
MODU ART THEATER Program
Graphic
2024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4

운동의 방식

Ways of Practice

2017
Practice

WOP_poster_s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17855287_1061579557310123_8440823088428553596_o-1-811x1024.jpg입니다

우리는 여러 방식의 운동을 경험합니다. 무거운 짐과 함께 계단을 오르는 노인의 짐을 대신 들기도, 참사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옷과 가방에 노란리본을 달기도 합니다. 타국에서 곤경에 처한 생면부지의 사람들을 위해 구호물품을 보내기도, 조금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하며 투표권을 행사하기도 합니다. 불의에 항거하여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서기도, 때로 멀리서나마 그것을 지지하기도 합니다. 운동의 방식은 우리 삶의 개수만큼 다양한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세 명의 디자이너가 디자인이라는 도구로 삶의 방식을 찾아가기 위해 만든 작은 회사입니다. 매 해 두세 가지 자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한국 사회 안에서 디자이너의 역할을 고민하는 소규모 공동체이기도 합니다.

‹운동의 방식›은 운동의 여러 방식 중 일상의실천이 선택한 방식을 선보이는 전시입니다. 날 선 정답이 아닌 다소 거칠고 울퉁불퉁한 미완의 전시로, 디자인과 운동이 갖는 낯선 간극을 잇고자 노력한 지난 흔적의 기록이기도 합니다.

‹운동의 방식›을 통해 많은 분들과 다양한 운동의 방식에 대해 함께 고민할 수 있길 바라봅니다.

 

전시기간
2017. 4. 10. 월요일 – 2017. 4. 28. 금요일
오전 10시 – 오후 8시

전시장소
탈영역우정국
서울 마포구 독막로20길 42
(창전동 390-11, 구: 창전동우체국)

전시오프닝
2017. 4. 12. 수요일 오후 7시

전시토크 1
일시: 2017. 4. 15. 토요일 오후 4시
장소: 탈영역우정국(2층)
주제: 일상의 실천은 무엇인가
참여: 일상의실천(권준호, 김경철, 김어진)

전시토크 2
일시: 2017. 4. 22. 토요일 오후 4시
장소: 탈영역우정국(2층)
주제: 디자이너의 다양성과 외연 확장
패널: 권준호(일상의실천), 박신우(페이퍼프레스), 박철희(햇빛 스튜디오), 장태훈(제로랩)
사회: 김어진(일상의실천)

클라이언트. Self-initiated Project

Client. Self-initiated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