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ypes
Graphic(417)
Editorial(577)
Website(103)
Identity(84)
Space(30)
Practice(61)
Motion(78)
Press(60)
Everyday(8)
All Types
No results found
All Types
Graphic
Editorial
Website
Identity
Space
Practice
Motion
Press
Everyday
Year
No results found
Year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1021 results

거부당한 제안들 2013-2016

Rejected Proposals 2013-2016

2016
Editorial

rejected_posters0

rejected_posters1

rejected_posters2

rejected_posters3

rejected_posters4

일상의실천 디자이너 권준호가 Graphic Magazine 에서 개최하는 ‘포스터 이슈 2016’에 <거부당한 제안들 2013-2016> 이라는 제목의 포스터로 참여했습니다.

이 포스터(혹은 포스터를 구성하는 이미지)들은 2013년 부터 2016년 현재까지 작가, 큐레이터, 미술관 혹은 박물관 관장, 예술감독, 기획자 그리고 그 외의 실무자들로부터 거부당한 디자인 제안들이다. 이 작업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거부당했다.
1. 프로젝트의 성격과 맞지 않음
해당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톤(밝거나 따뜻한, 차갑거나 어두운, 진지하거나 가벼운, 급진적인 거나 보수적인)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경우다. 전시를 홍보하는 포스터를 작업할 때 디자이너에게 주어지는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다.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전시 제목과 작가의 작품 몇 점, 그리고 해독이 어려운 큐레이터의 글을 소재로 디자이너는 그 전시의 성격을 지면 위에 온전히 드러내야 한다.
2 디자이너의 재해석이 지나침
“자기 작업이라고 생각하고 해주세요”, “디자이너를 무한히 신뢰합니다” 같은 요구를 첫 미팅 때 해맑게 웃으며 요구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의 웃음이 워낙 순수해 보여서 ‘이번엔 진짜?’라는 헛된 희망을 가지고 작업하게 되는 경우다. 보통 이런 경우 ‘그럼 그렇지…’라는 혼잣말과 함께 처음부터 다시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3 최종 결정권자의 마음에 들지 않음
최종 결정권자는 각 기관에 따라 다른데, 대부분 관장, 부장, 예술감독과 같은 듣기만 해도 자동적으로 디자이너를 움츠러들게 하는 직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디자이너에게 절대 그 실체를 드러내지 않으며, 오로지 실무자를 통해 의견(을 가장한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 ‘관장님이 봄을 좋아해서 노란색을 써주세요’ 같은 지시사항을 듣고 있자면, 그 관장이란 실제 하는가 혹은 실무자의 감정을 포장해서 전달하기 위한 허깨비인가 하는 의문이 들곤 한다.
4 그냥 뭔가 마음에 들지 않음
디자이너를 상대하는 실무자는 1-3번의 이유로 제안을 거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사실 그냥 뭔가 알 수 없는 불편함’ 혹은 ‘뭔가 확 땡기지 않는 어색함’ 때문에 거부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런 경우 그 불편함과 어색함의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관건인데, 개인의 취향과 주관적 미감의 모호함 사이에서 헤매다 보면, 그 ‘무엇인가’의 실체를 선명하게 만드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클라이언트. GRAPHIC

Client. GRAP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