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사이
Between Heavy Showers
Graphic
2025
정태춘 박은옥
4
전기가오리 E-Book, 명함, 시각물아이덴티티디자인
Philo Electro Ray E-Book, Business Cards, Visual Identity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
2025
전기가오리
4
눈꺼풀 안쪽의 정원
A Quiet Garden Behind My Eyes
Graphic
2025
조아영
3
설문대할망전시관 재개관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the Reopening of the Seolmundaehalmang Complex
GraphicMotion
2025
설문대할망전시관
4
새로움아이 아이덴티티 & 웹사이트
Saeroumi Identity & Website
IdentityMotionWebsite
2025
새로움아이
3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마나 모아나: 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pecial Exhibition
Manamoana: Art of the Sacred Sea, Oceania
Graphic
2025
국립중앙박물관
5
정의의 그늘 아래에서
Under the Shadow of Justice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유영하는 세계: Bed, Bath, Bus
Floating World: Bed, Bath, Bus
GraphicMotion
2025
세화미술관
4
<떨어지는눈> 전시디자인
Take My Eyes Off
EditorialGraphicMotionSpace
2025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4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 웹사이트 디자인
Seoul Drum Festival 2025 & Website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MotionWebsite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4
2025-26 서울식물원 기획전 우리들의 자연, 행성적 공존
2025–26 Seoul Botanic Park Exhibition Our Nature, Planetary Coexistence
Graphic
2025
서울식물원
5
세화미술관 웹사이트
Sehwa Museum of Art Website
Website
2025
세화미술관
3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개관전
Opening Exhibition of the Children’s Museum at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raphicMotion
2025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4
서치라이트 웹사이트 및 아이덴티티 디자인
Searchlight Website & Identity Design
IdentityWebsite
2025
로파 서울
3
어린이박물관 아이덴티티 디자인
Identity Design for Children’s Museum
GraphicIdentity
2025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2
한양대학교 박물관 특별전 《시멘트:모멘트》
Cement: Moment Special Exhibition Catalogue for the Hanyang University Museum
Editorial
2025
한양대학교박물관
5
서울백화점
Local to Seoul 100 Diaries
GraphicMotion
2025
문화역서울284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3
불닭 브랜드 웹사이트
Buldak Brand Website
Website
2025
불닭삼양식품
4
2025 올리브영 프로젝트
2025 OLIVEYOUNG Project
EditorialGraphic
2025
올리브영
5
《시대 정신》 프로젝트 도록
Zeitgeist Project Publication
EditorialPractice
2025
Self-initiated Project
4

그런 배를 탔다는 이유로 죽어야 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No one deserves to die for being on such a ship

2014
Practice

419_001

419_002

419_003

419_004

419_005

419_006

419_007

419_008

419_009

419_010

차가운 사월의 바다로부터 304명의 목숨이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그 중 아홉명은 여전히 생사의 여부조차 알 수 없습니다. 어느덧 반년이 훌쩍 지난 지금에 이르러서도, 우리는 설명하기 힘든 좌절감을 껴안은 채 살아가고 있습니다.

어른들은 비정했습니다. 힘없이 스러진 인명을 눈앞에 두고도 지리한 변명과 거짓된 눈물 그리고 말라버린 침묵으로 억누를 수 없는 숱한 좌절감을 외면했습니다. 모두 잊고 경제나 살리자는, 침묵보다 못한 정치깡패들의 발언은 추잡함의 극치였습니다. 적나라하게 드러난 유착과 비리, 경찰과 언론 그리고 정부의 무능은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의 붕괴 이후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은 우리 사회의 민낯 그 자체였습니다. 과거에 멈춰버린 사회를 바라보며, 시간은 단지 육체의 퇴화만을 위해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이루 셀 수 없는 삶들이 수면 아래로 저물어 갈 때, 우리는 함께 절망하며 서로를 위로했습니다. 두려움에 가까운 산 자의 슬픔은 매일을 대항해야 할 고통으로 남겨졌습니다. 받아드릴 수 없는 죽음 앞에서, 우리는 그것이 결코 나의 죽음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끝을 헤어릴 수 없는 분향소 앞 조문객의 행렬은, 마치 산 자와 죽은 자를 잇는 가슴 아픈 애도의 끈과 같았습니다.

’그런 배를 탔다는 이유로 죽어야 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모든 삶의 존엄성이 잊혀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시작된 프로젝트입니다. 허튼 죽음도, 가벼이 여겨질 목숨도, 돈으로 환산될 운명도 어디에 없음을 분명하게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모든 삶의 무게는 같습니다. 영문도 모른 채 스러져 간 인명은, 어쩌면 외면할 수 없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일지도 모릅니다. 숭고한 모든 삶이 서로 닿아있음을 바로 보며, 이 모든 비극을 끝까지 외면하지 않길 바라봅니다.

삼가 돌아가신 모든 희생자 분들의 명복을 빌며, 세월호 사건의 진상규명이 명백하게 이뤄지기를 촉구합니다.

클라이언트. Self-initiated Project

Client. Self-initiated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