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마 아프 클린트: 적절한 소환〉 웹사이트 & 전시
〈Hilma af Klint: Proper Summons〉 Website & Exhibition
EditorialGraphicSpaceWebsite
2025
부산현대미술관
5
광복 80주년 기념 한지 특별판 – 저항시인의 시집
Special Hanji Edition Commemorating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EditorialGraphic
2025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4
서울라이트 DDP 2025 가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Seoul Light DDP 2025 Autumn
Graphic
2025
서울디자인재단
4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 아이덴티티, 사이니지 시스템 디자인

Seoul Dance Creation Center (SDCC)
Identity and Signage System Design
IdentityMotionSpace
2025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
3
KITSCH & POP: Korean Pop Art Now
KITSCH & POP: Korean Pop Art Now
GraphicMotion
2025
서울시립미술관
4
후마니타스 『우리들의 드라마』 표지 디자인
Humanitas <Our Drama> Cover Design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글라스바우한 & 브런질 웹사이트
Glasbau-hahn & Bruynzeel Website
Website
2025
새로움아이
1
영등포선유도원축제
Yeongdeungpo Seonyudo Park Festival
GraphicMotion
2025
영등포문화재단
5
공공디자인 합니다
Do, Public Design
Editorial
2025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4
ACC XMF
ACC XMF
GraphicIdentityMotion
2025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3
힐마 아프 클린트: 적절한 소환
Hilma af Klint: Proper Summons
EditorialGraphicMotion
2025
부산현대미술관
3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 전시 디자인
Even on the day when waiting ends
EditorialGraphicWebsite
2025
경기도미술관
4
스탑메이킹센스포스터 & 굿즈
STOP MAKING SENSE Poster & MDs
Graphic
2025
찬란
3
전북도립미술관 《진격하는 B급들》
Jeonbuk Museum of Art 《B-Class Jokes》
EditorialGraphicSpace
2025
전북도립미술관
4
서울라이트 DDP 2025 여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Seoul Light DDP 2025 Summer
Graphic
2025
서울디자인재단
5
2025 대한민국미술축제
2025 Korea Art Festival
GraphicIdentityMotion
2025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5
보고싶어, 니 영화! 2025
We Want Your Film! 2025
Graphic
2025
서울독립영화제
3
전기가오리 웹사이트
Philo Electro Ray Website
Website
2025
전기가오리
4
주한독일문화원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Goethe-Institut Korea’s “Solitude: Loneliness and Freedom”
GraphicIdentity
2025
주한독일문화원
3
CODE Korea
CODE Korea
GraphicIdentityMotion
2025
Pitti Immagine
4

플래닛 B: 기후 변화 그리고 새로운 숭고

Planet B. Climate chnhe and the new sublime

2023
Editorial

“지구에 산다는 것은 이전과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니콜라 부리오는 199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비평 담론을 이끌어온 세계적인 큐레이터이자 비평가입니다. 그는 해마다 심각해지는 자연 이변이 가속화될수록 인간이 주목해야 할 분야는 다름 아닌 예술이라 정의합니다. 그 이유는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서만이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을 가장 효과적으로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이 책에는 기후 위기를 모티브로 선택한 여러 예술가의 작품들로 그들의 독특한 접근법과 주제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숭고의 개념에서 나아가 시간과 재난 발생에 의한 숭고의 의미로 구별되어 있으며, 총 2 개의 파트로 구성하여 (새로운) 숭고의 의미를 자세히 설파하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낭만주의 숭고의 예술이 추구하는 ‘감각의 자극’을 시각화 하기 위해 비정형적인 형태의 타이포그래피와 보색 대비의 색감을 활용하여 책을 디자인 했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권준호, 정영선
사진. 김진솔

클라이언트. 이안북스

“Living on the planet means something different than it used to.”

Nicolas Bourriaud is a world-renowned curator and critic who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critical discourse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since the 1990s. He believes that as the severity of natural events accelerates year by year, it is art that should be the focus of human attention, because it is only through the work of artists that we can most effectively realise the situation we are in. The book includes works by several artists who have chosen the climate crisis as a motif, introducing their unique approaches and themes. It also goes beyond the general concept of the sublime, distinguishing the meaning of the sublime by time and the occurrence of disasters, and is organised into two parts to elaborate on the meaning of the (new) sublime.

Everyday Practice designed the book using atypical forms of typography and complementary contrasting colours to visualise the ‘stimulation of the senses’ sought by the art of the Romantic sublime.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Design. Joonho Kwon, Youngsun Jung
Photography. JSK studio

Client. 이안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