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공공디자인페스티벌 주제전시 <길몸삶터>
2022 Public Design Festival Theme Exhibition <Road, Body, Life, Space>
2022일상의실천 권준호, 김경철, 김어진 디자이너가 2022 공공디자인페스티벌 주제전시 길몸삶터의 초대 큐레이터를 맡아, 보편의 소외 섹션을 기획했습니다.
‘공공성’의 바탕에는 사회 구성원 다수를 대상으로 해야 하는 ‘보편성’이 담겨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삶의 모습과 결은 모두 제각각입니다. 공공성이라는 이름으로 다수를 위한 가치 실현을 ‘일반화’할 수밖에 없는 이러한 모순은 디자인과 공공성의 관계를 어색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모순은 공적 가치 실현을 향한 미시적 접근을 방해하며 의도치 않은 예외적 소외의 영역을 만들어냅니다. 세심하지 못한 배려의 태도가 만들어내는 소외의 재생산입니다. 이 전시는 사람과 동물, 노인과 아이, 남성과 여성과 같은 물리적 차이에 의한 소외 뿐만 아니라 계층, 세대, 소득, 직업과 같은 다양성의 지형을 섬세하게 살피며 예외적 소외를 작품으로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전시 감독. 안병학
큐레이터. 김예니, 김한솔, 석재원
초대큐레이터. 일상의실천, 김건태, 김형재, 홍은주
코디네이터. 박용훈, 양효정, 문사라
시노그래퍼. 김병국, 민경문 (맙소사)
전시 아이덴티티. 시멘트
협력코디네이터. 김도경, 박한별, 이영주, 이예린, 조혜연, 최홍주, 한지연
전시 시공. 유니원
사진. 김진솔
Kwon Jonho, Kim Kyungchul and Kim Eojin who are designers of Everyday Practice have organized a universal alienation section as curators of the 2022 Public Design Festival theme exhibition “Road, Body, Life, Space”.
The basis of “publicity” contains “universality” that must be targeted at the majority of members of society. However, the shape and texture of our lives are all different. Therefore, in the design process for the public, someone’s alienation inevitably occurs. This exhibition introduces a delicate look at the forms of alienation caused by various reasons, such as class, generation, income, and occupation, as well as alienation by physical differences such as people and animals, old people and children, men an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