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더아리움 카탈로그
2020 The Arium Catalogue
2021더아리움&카탈로그는 서울여성공예센터에서 지원하는 여성 작가를 소개합니다. 2020년 카탈로그는 서른 여섯 명 입주 작가의 작업 공간, 작품 스케치, 에세이, 공예 상품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2020 더아리움 카탈로그 의 핵심어는 ‘당신의 공간’입니다. 입주 공간이 하드웨어의 의미를 넘어, 여성 공예가 각자의 이야기를 담는 폭넓은 의미의 공간이라는 전제를 담고 있습니다.
카탈로그 표지는 공예 상품의 역할에 공간의 의미를 더합니다. 형압으로 눌린 표지의 영역은 컵을 놓을 수 있는 ‘휴식의 공간’과 필기구를 놓을 수 있는 ‘생각의 공간’으로 기능합니다. 입주 작가를 소개하는 페이지는 각자의 작업 공간을 담은 ‘창작의 공간’과 작업 스케치를 담은 ‘상상의 공간’으로 구성되고, 작가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와 공예 상품을 소개합니다. 책의 안과 밖 공간은 입주 작가를 주인공으로 소개하는 역할과 동시에 책의 다양한 쓰임을 지향하는 공예 상품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디자인. 김어진
사진. 김진솔(Jinsol Kim)
편집. 박성미(어떤책방)
클라이언트. 더아리움, 서울여성공예센터
The Arium&catalog introduces female artists supported by the Seoul Women’s Craft Center. The 2020 catalog covers workspaces, work sketches, essays, and craft products for 36 artists.
The key word for 2020 The Arium Catalogue&is ‘Your Space.’ This means that space is not just a physical meaning, but a space where women’s crafts contain their own stories.
The catalog cover adds meaning to the role of craft products. The area of the compressed cover acts as a ‘space of relaxation’ to place cups and ‘space of thought’ to place writing instruments. The page introducing artists consists of “Creative Space” containing their respective work spaces and “Imaginary Space” containing work sketches. These pages introduce essays and craft products that tell the story of craft artists. The spac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ok serves as an introduction of artists as the main characters, as well as a craft product that aims for various uses of the book.
Design. Eojin Kim
Photography. Jinsol Kim
Editing. Sungmi Park
Client. 더아리움, 서울여성공예센터